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MCP 완전정복: AI가 외부 세계와 소통하는 새로운 방법
    카테고리 없음 2025. 4. 1. 17:50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최근 AI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MCP(Model Context Protocol)'에 대해 알아볼게요. 어려운 내용이지만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릴테니 걱정 마세요! 😊

    MCP란 무엇일까요?

    MCP는 앤트로픽(Anthropic)이 2024년 11월에 공개한 오픈소스 프로토콜이에요. 복잡하게 들리지만 간단히 말하면 **AI가 외부 세계의 정보와 도구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표준화된 통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왜 이게 중요할까요? 아무리 똑똑한 AI 모델도 학습 데이터 외의 정보는 알 수 없어요. 마치 인터넷이 끊긴 상태에서 "오늘 날씨 어때?"라고 물어보는 것과 비슷하죠. MCP는 AI에게 데이터베이스, 파일 시스템, 각종 앱 등 외부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합니다.

    📚 기술적 개념 심화: MCP의 구조

    MCP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1. MCP 클라이언트: AI 모델이나 에이전트가 도구를 찾고 사용하는 부분
    2. MCP 서버: 실제 도구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부분

    이 두 부분은 JSON-RPC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로 상호작용하며, 다음과 같은 핵심 기능들을 포함합니다:

    • 서버 디스커버리(Server Discovery): 사용 가능한 MCP 서버 찾기
    • 도구 디스커버리(Tool Discovery): 각 서버에서 제공하는 도구 목록 가져오기
    • 도구 호출(Tool Invocation): 원하는 도구의 기능 실행하기
    • 컨텍스트 공유(Context Sharing):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상태 유지하기

    왜 갑자기 MCP가 인기를 끌고 있나요?

    처음 출시됐을 때는 큰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2025년 초부터 MCP의 인기가 급상승했어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1. AI 에이전트의 부상: 단순한 대화형 AI를 넘어,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AI 에이전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어요.
    2. 통합의 필요성: 실제 업무 환경에서 AI를 사용하려면 기존 시스템과의 연결이 필수적이죠.
    3. 표준화의 이점: 각 시스템마다 다른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보다 하나의 표준 방식이 훨씬 효율적이에요.

    현재 Block(Square), Apollo, Zed, Replit 등 유명 기업들이 MCP를 도입했고, 2025년 2월 기준으로 1,000개 이상의 MCP 서버가 커뮤니티에 의해 개발되었답니다.

    MCP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MCP의 작동 방식을 좀 더 깊이 이해해봅시다. 대형 호텔에 비유해볼게요:

    1. MCP 프로토콜은 호텔의 '서비스 디렉토리'예요. 어떤 서비스(도구)가 어디서(서버) 제공되는지 알려줍니다.
    2. MCP 서버는 호텔 내 각 부서(컨시어지, 룸서비스, 스파 등)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AI 모델은 호텔 투숙객으로, 서비스를 요청합니다.
    4. 도구 디스커버리는 호텔 로비의 안내 데스크처럼 작동해서, 투숙객에게 어떤 서비스가 있는지 알려줍니다.
    5. 도구 호출은 실제로 서비스를 주문하는 과정이에요. 예를 들어 룸서비스에 저녁 식사를 요청하는 것과 같죠.
    6. 컨텍스트 공유는 호텔이 투숙객의 선호도를 기억하는 것과 같아요. 첫날 요청한 특별 요구사항을 다음날에도 기억하는 거죠.

    이 비유에서 정말 특별한 점은, 호텔에 새로운 서비스가 추가되면(예: 새로운 스파 시설) 자동으로 디렉토리가 업데이트되고 투숙객에게 알려준다는 거예요. 이것이 바로 MCP의 '다이나믹 디스커버리' 기능입니다!

    💻 실제 사용 예시: 파일 시스템 접근

    실제로 MCP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간단한 예시를 통해 살펴봅시다. AI가 사용자의 파일 시스템에 접근해야 하는 상황을 가정해볼게요:

    # MCP 서버 설정 (파일 시스템 접근용)
    from mcp import MCPServer, Tool
    
    # 파일 시스템 도구 정의
    @Tool
    def read_file(path: str) -> str:
        """지정된 경로의 파일 내용을 읽습니다."""
        with open(path, 'r') as f:
            return f.read()
    
    @Tool
    def list_directory(path: str) -> list:
        """지정된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반환합니다."""
        import os
        return os.listdir(path)
    
    # MCP 서버 시작
    server = MCPServer(name="file_system", description="파일 시스템에 접근하는 도구")
    server.add_tool(read_file)
    server.add_tool(list_directory)
    server.start(port=8000)
    

     

    AI 모델(클라이언트)은 이제 이 도구들을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내 문서 폴더에 어떤 파일들이 있는지 알려줄래?
    
    AI: 문서 폴더의 파일 목록을 확인해보겠습니다.
    (내부적으로 AI는 MCP를 통해 list_directory('/Users/사용자명/Documents') 도구를 호출합니다)
    
    AI: 문서 폴더에는 다음 파일들이 있습니다:
    - 회의록_2025.docx
    - 프로젝트_계획서.pdf
    - 가족사진.jpg
    ...
    
    사용자: 회의록 내용을 요약해줄래?
    
    AI: 회의록 파일을 읽어보겠습니다.
    (내부적으로 AI는 MCP를 통해 read_file('/Users/사용자명/Documents/회의록_2025.docx') 도구를 호출합니다)
    
    AI: 회의록 내용을 요약하자면...
    

    MCP 사용 방법

    MCP를 사용하는 기본 단계는 다음과 같아요:

    1. 원하는 도구의 MCP 서버를 설치하고 실행합니다.
    2. AI 앱에서 MCP 클라이언트를 설정합니다.
    3. 클라이언트가 MCP 서비스를 감지하면, AI가 필요할 때 도구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 실전 예시: Claude Desktop에서 MCP 설정하기

    실제로 Claude Desktop에서 MCP를 설정하는 과정을 살펴볼게요:

    1. Claude Desktop을 실행하고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2. 'MCP 서버'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3. '서버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다음 정보를 입력합니다:
      • 이름: "GoogleDrive"
      • URL: "http://localhost:8001"
      • 설명: "Google Drive 파일 접근용 MCP 서버"
    4.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Claude가 자동으로 서버에 연결하고 사용 가능한 도구를 감지합니다.
    5. 이제 대화에서 "내 드라이브에 있는 마케팅 보고서를 분석해줘"라고 요청하면, Claude는 자동으로 MCP를 통해 Google Drive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기존 방법들과 어떻게 다른가요?

    MCP 이전에도 AI와 외부 시스템을 연결하는 방법은 있었어요:

    1. 맞춤 코드 작성: 각 서비스마다 별도의 코드를 작성해야 했죠. 마치 각 웹사이트마다 다른 브라우저를 써야 하는 것처럼 번거로웠어요.
    2. 플러그인: ChatGPT나 Bing Chat 같은 특정 플랫폼만을 위한 독점적 기능이었죠.
    3. 랭체인(LangChain): 개발자 중심의 접근법으로, 각 도구를 에이전트 코드에 통합해야 했어요.
    4.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주로 정적 텍스트 검색에 초점을 맞춘 방식이었죠.

    🔄 통합 방식 비교: 코드로 보는 차이점

    각 방식의 차이를 코드 예시로 비교해볼게요:

     

    기존 맞춤 코드 방식:

    # Google Drive API 설정
    from googleapiclient.discovery import build
    from google_auth_oauthlib.flow import InstalledAppFlow
    
    # 데이터베이스 연결 설정
    import mysql.connector
    
    # 두 서비스 통합을 위한 복잡한 코드...
    # 각 API마다 인증, 데이터 처리 등 별도 코드 필요
    

     

    랭체인 방식:

    from langchain.agents import Tool, initialize_agent
    from langchain.tools.google_drive import GoogleDriveSearchTool
    from langchain.tools.sql_database import SQLDatabaseTool
    
    # 각 도구 개별 설정
    drive_tool = GoogleDriveSearchTool(credentials_path="...")
    db_tool = SQLDatabaseTool(db_connection="...")
    
    # 도구들을 에이전트에 추가
    agent = initialize_agent([drive_tool, db_tool], llm=some_llm)
    

     

    MCP 방식:

    # AI 앱 코드
    from mcp import MCPClient
    
    # 표준화된 방식으로 서버들에 연결
    client = MCPClient()
    client.connect("http://localhost:8001")  # Google Drive 서버
    client.connect("http://localhost:8002")  # 데이터베이스 서버
    
    # AI는 자동으로 도구들을 발견하고 필요시 사용
    

    MCP 방식이 훨씬 간결하고 확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죠!

    MCP의 한계와 고려사항

    물론 MCP도 만능은 아니에요. 몇 가지 고려할 점을 살펴볼게요:

    1. 관리 오버헤드: 여러 MCP 서버를 관리하는 일은 번거로울 수 있어요.
    2. 도구 사용성: AI가 도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도구에 대한 설명이 명확해야 해요.
    3. 성숙도: 비교적 새로운 기술이라 앞으로 많은 변화가 있을 수 있어요.
    4. 호환성: 모든 AI 플랫폼이 MCP를 지원하지는 않을 수 있어요.
    5. 보안: 외부 도구에 대한 접근을 안전하게 관리해야 해요.

    🛡️ 보안 고려사항의 구체적 예시

    실제 기업 환경에서 MCP를 도입할 때 다음과 같은 보안 쟁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 MCP 서버에 보안 계층 추가 예시
    from mcp import MCPServer, Tool, Auth
    
    # 인증 미들웨어 설정
    auth = Auth(
        auth_type="oauth2",
        allowed_clients=["trusted-ai-app-1", "trusted-ai-app-2"],
        token_validation="https://auth.example.com/validate"
    )
    
    # 접근 제한 설정
    @Tool(permissions=["read_only", "user_files_only"])
    def read_sensitive_file(path: str) -> str:
        """제한된 접근 권한으로 파일을 읽습니다."""
        # 권한 검증 로직
        if not is_user_file(path):
            raise PermissionError("접근 불가능한 파일입니다")
        
        with open(path, 'r') as f:
            return f.read()
    
    # 보안이 강화된 MCP 서버
    server = MCPServer(name="secure_files", auth=auth)
    server.add_tool(read_sensitive_file)
    server.start(port=8000, use_ssl=True, cert_path="./certs/server.crt")
    

    이러한 보안 계층은 MCP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민감한 데이터와 시스템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MCP의 미래와 가능성

    MCP는 AI 에이전트의 가능성을 크게 확장시킬 수 있어요. 몇 가지 흥미로운 활용 사례를 살펴볼게요:

    📅 실제 사례 1: 자동화된 이벤트 플래너

    회사 행사를 계획해야 하는 마케팅 팀을 생각해보세요. MCP 기반 AI 비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1. 팀원들의 Google 캘린더를 확인해 가능한 날짜 찾기
    2. 행사 예산 스프레드시트 업데이트하기
    3. 이벤트브라이트(Eventbrite)에서 티켓 생성하기
    4. 슬랙을 통해 팀에 알림 보내기
    5. 참석자 응답에 따라 케이터링 주문 조정하기

    이 모든 작업이 하나의 AI 비서를 통해, 별도의 앱 전환 없이 이루어집니다!

    🏥 실제 사례 2: 의료 데이터 통합 시스템

    병원에서 MCP 기반 AI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의사: "환자 김철수 씨의 최근 혈액 검사 결과와 작년 MRI 스캔을 보여주고, 현재 처방된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해줘."
    
    AI: (내부적으로 다음 MCP 도구들을 연속해서 호출합니다)
    1. 환자_기록_검색("김철수")
    2. 혈액검사_결과_조회(환자ID, "최근")
    3. 영상_자료_검색(환자ID, "MRI", "1년 이내")
    4. 현재_처방_확인(환자ID)
    5. 약물_상호작용_분석(약물_목록)
    
    AI: "김철수 씨의 최근 혈액 검사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약간 높게 나왔습니다. 작년 MRI 스캔은 정상이었습니다. 현재 처방 중인 리피토르와 아스피린 사이에는 특별한 상호작용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것과 관련하여 식이요법 조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런 시스템은 의사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환자 진료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실제 사례 3: 스마트홈 통합 비서

    MCP를 통해 스마트홈 장치들과 연결된 AI 비서는 다음과 같은 상호작용이 가능합니다:

    사용자: "오늘 밤 영화 보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줘."
    
    AI: (내부적으로 다음 MCP 도구들을 순차적으로 호출)
    1. 스마트조명.밝기조절(거실, "영화모드")
    2. 스마트커튼.닫기()
    3. 스마트TV.켜기()
    4. 넷플릭스.추천목록("사용자 취향 기반")
    5. 스마트에어컨.설정(온도=23, 모드="조용히")
    
    AI: "영화를 위한 완벽한 환경을 준비했어요. 조명은 영화 모드로 설정했고, 커튼을 닫고 TV를 켰습니다. 넷플릭스에서 최근에 인기 있는 '인셉션 2'와 '매트릭스: 리로드'가 있네요. 어떤 영화를 보고 싶으신가요?"
    

    이 모든 것이 별도의 앱 전환 없이 하나의 대화 인터페이스로 가능해집니다!

    앤트로픽에 따르면, 앞으로 원격 서버 지원, 공식 레지스트리, 스트리밍 지원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될 예정이라고 해요.

    정리하자면

    MCP는 AI를 '고립된 두뇌'에서 '다재다능한 작업 수행 엔진'으로 변화시키는 중요한 발전이에요.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참여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 AI가 실생활과 비즈니스에 더 깊이 통합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AI는 단순히 대화하는 도구가 아니라, 실제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 조력자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MCP는 그 진화의 중요한 한 걸음이 될 것이 분명해 보이네요! 💻✨


     

Designed by Tistory.